하얀제비 2017. 5. 8. 08:03

"싼 게 비지떡"

 

값싼 물건이나 보잘 것 없는 음식을 일컫는 옛 속담에

"싼 게 비지떡" 이란 말이 있습니다.

그러나 이 속담의 語源(어원)을 보면

'싼게 비지떡'이란 말엔 전혀 다른 意味(의미)가 담겨져 있습니다.

충북 '제천'의 '봉양면'과 '백운면' 사이 고개인 '박달재'는

지방에서 한양으로 올라가려면 꼭 거쳐야 하는

交通(교통)의 要地(요지)였습니다.

'박달재' 근처 산골 마을엔 주로 과거 보러가던

선비들이 들렀던 작은 주막이 있었다고 하는데~

'박달재' 고개 주막의 주모는 하룻밤 묵고 길 떠나는 선비들에게

늘 보자기에 싼 무엇인가를 봉송(정성들여 주는 것 )으로 주었지요.

봉송을 받아든 선비들이 "싼 것이 무엇이냐"고 물으면

酒母(주모)는 "싼 것은 비지떡 입니다.

가다가 배가 출출할 때 드세요" 라고 답했다고 합니다.

즉, 이 말인즉,

'보자기에 싼 것이 콩비지로 만든 떡' 입니다"란 의미가 담긴 대답이었습니다.

여기서 비지떡은 두부 만들 때 나오는 비지(찌거기)에 쌀가루 넣고

소금 간을 해서 빈대떡처럼 만들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.

이 속담에서 배려와 정을 느낄 수 있습니다.

먹거리가 귀했던 시절, 먼길 떠나는 사람들에게

비지떡을 보자기에 싸서 전했던 산골 마을의

주모(酒母)가 "다들 과거급제해서 꼭 성공하시게나.

" 어머니의 마음으로 이런 바람을 봉송에 담지 않았을까요?

'싼 게 비지떡', 지금은 하찮은 물건을 이르는 말이지만

오래 전엔 가진 건 없지만 상대를 배려하고 나눠주는

따뜻한 정이 담긴 말입니다.

봄꽃축제의 끝자락인 5월의 첫째주입니다.

남을 배려하는 여유로운 마음으로 상큼하게 웃으면서 보내십시오.